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식재료 유통기한 정리표 – 냉장·냉동·실온 보관 꿀팁

by easy_salim 2025. 3. 12.
반응형

식재료 보관을 잘못하면 음식이 상하고 돈도 낭비돼요. 유통기한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가계비를 줄일 수 있어요! 오늘은 식재료 보관별 유통기한을 정리해 볼게요.

1. 냉장 보관 식재료 –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간

냉장고에 보관한다고 무조건 오래가는 건 아니에요. 적절한 기간을 지키는 게 중요해요.

① 육류 및 생선류

  • 소고기(날것): 3~5일
  • 돼지고기(날것): 2~4일
  • 닭고기(날것): 1~2일
  • 생선(날것): 1~2일
  • 가공육(햄, 소시지): 개봉 후 3~5일

② 유제품

  • 우유: 개봉 후 5~7일
  • 요거트: 개봉 후 5~7일
  • 치즈: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슬라이스 치즈는 2주, 블록 치즈는 3~4주
  • 버터: 1~3개월 (냉장 보관 시)

③ 채소

  • 잎채소(상추, 시금치): 3~7일
  • 당근, 오이: 2~3주
  • 양파, 마늘: 1~2개월 (껍질 제거 전)

2. 냉동 보관 – 장기 보관이 가능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

냉동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지만, 영원히 신선한 건 아니에요.

① 육류 및 생선

  • 소고기, 돼지고기: 6~12개월
  • 닭고기: 6~9개월
  • 생선: 3~6개월 (기름기 많은 생선은 3개월 이내)

② 가공식품

  • 냉동 만두, 피자: 3~6개월
  • 냉동밥: 1개월
  • 냉동 과일: 6~12개월

③ 빵 & 디저트

  • 식빵: 3개월
  • 머핀, 케이크: 2~3개월

TIP: 냉동 보관 시 공기 차단이 중요해요. 지퍼백이나 밀폐 용기에 넣어 보관하면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요!

3. 실온 보관 – 오랫동안 두고 먹을 수 있는 식재료

실온 보관이 가능한 식재료도 많지만, 직사광선이나 습기를 피해 보관하는 것이 중요해요.

① 곡물 & 견과류

  • 쌀: 6~12개월 (밀폐 용기 보관 필수)
  • 밀가루: 6~8개월
  • 견과류: 2~6개월

② 양념 & 조미료

  • 설탕, 소금: 무기한
  • 식초: 무기한
  • 간장: 개봉 후 1년
  • 고추장, 된장: 개봉 후 6~12개월

③ 과일

  • 사과, 배: 1~2개월
  • 바나나: 3~7일
  • 감자, 고구마: 1~2개월

4. 유통기한 잘 지키는 관리법

유통기한을 잘 지키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어요.

  1. "선입선출" 원칙 지키기
    • 냉장고에 오래된 식재료를 앞쪽에 두고, 새로 산 것은 뒤쪽에 두세요.
  2. 보관 날짜 적기
    • 지퍼백이나 용기에 날짜를 적어두면 언제까지 먹어야 할지 쉽게 알 수 있어요.
  3. 냉장고 & 냉동고 정리하기
    • 매주 한 번씩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.
  4. 밀폐 용기 사용하기
    • 식재료를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하면 변질을 늦출 수 있어요.

결론

식재료 보관법을 제대로 알면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, 돈도 절약할 수 있어요. 냉장·냉동·실온 보관법을 활용해 식재료를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해 보세요! 작은 실천이지만, 꾸준히 하면 큰 절약 효과를 볼 수 있을 거예요.

 
 
반응형